무릎 안쪽 통증 – 단순 타박이 아닐 수 있습니다, 정확한 원인 파악이 먼저예요
- 카테고리 없음
- 2025. 5. 19. 13:35
무릎 안쪽 통증 – 단순 타박이 아닐 수 있습니다, 정확한 원인 파악이 먼저예요
무릎 안쪽이 아프고 당기듯이 불편한 느낌이 드는데,
겉으론 멍도 없고 심하게 부딪힌 기억도 없다면?
이는 단순 타박상이 아니라 내측 인대, 연골, 힘줄, 점액낭 등 내부 구조의 문제일 수 있습니다.
특히 무릎의 안쪽은 하중이 가장 많이 걸리는 부위로,
운동, 잘못된 걷는 습관, 퇴행성 변화로 인해 반복적으로 손상되기 쉬운 구조입니다.
이번 글에서는 무릎 안쪽 통증의 대표적인 원인 6가지와 주요 증상,
그리고 자가진단법 및 대처 방법까지 자세하게 알려드릴게요.
1. 내측측부인대(MCL) 손상 – 무릎 안쪽이 찌릿하고 불안정한 느낌
무릎이 안으로 꺾이거나, 외부 충격이 가해졌을 때
**내측측부인대(MCL)**가 늘어나거나 찢어져서 통증이 발생합니다.
- 무릎 안쪽을 누르면 뻐근하고 찌릿함
- 움직일 땐 괜찮지만 계단 내려갈 때, 옆으로 걷기 등이 힘듦
- 운동 중 방향 전환 시 불안정한 느낌
🩺 초기엔 냉찜질과 압박 고정이 필요하며, 2도 이상 손상 시 병원 진료 필요
2. 반월상연골판(Meniscus) 손상 – 앉았다 일어날 때 안쪽이 욱신
무릎 안쪽에 위치한 C자형 연골판이 찢어지거나 마모되면
무릎 굽힐 때 안쪽이 찌르듯 아프고, ‘딸깍’하는 소리가 날 수 있어요.
- 쪼그려 앉거나 무릎을 꿇을 때 강한 통증
- 일어날 때 무릎이 잠깐 잠긴 듯한 느낌
- 오래 걷거나 운동 후 붓는 경우 많음
💡 연령과 관계없이 운동하다가, 혹은 계단에서 비틀려 발생할 수 있습니다.
3. 거위발건염 – 무릎 안쪽 아래 뼈 옆이 뻐근하고 당기는 느낌
허벅지 안쪽 근육이 무릎 안쪽 아래뼈(경골 내측)에 붙는 부위를 거위발건이라 하는데,
이 부위에 염증이 생기면 거위발건염이 발생합니다.
- 무릎 안쪽 아래가 뻐근하고 눌렀을 때 통증
- 특히 아침 기상 후, 혹은 운동 직후 심해짐
- 비만, 평발, 걷는 자세 불균형이 원인이 되기도 함
📍 팔꿈치의 ‘테니스엘보’처럼 반복적인 사용으로 생기는 힘줄염의 일종입니다.
4. 슬개골 연골연화증 – 안쪽 통증 + 무릎 앞이 모래 갈리는 듯한 느낌
슬개골(무릎 앞뼈)의 뒷면에 있는 연골이 닳거나 말랑해지며
슬개골이 정렬 이상을 일으킬 때 안쪽 통증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.
- 계단 내려갈 때 안쪽 압박감
- 무릎 굽힐 때 앞·안쪽에서 ‘뚝’ 소리
- 오래 앉았다 일어나면 무릎이 뻣뻣하고 아픔
🧘♀️ 대퇴사두근 강화 운동과 체중 조절이 증상 완화에 도움 됩니다.
5. 내측 점액낭염 – 무릎 안쪽이 부어오르고 만지면 뜨거움
무릎 안쪽에도 **윤활 역할을 하는 점액낭(버사)**이 있는데,
이 부위에 염증이 생기면 누르면 말랑하고 열감이 있으며
앉았다 일어설 때 통증이 심해집니다.
- 부위가 부어오르고 따뜻함
- 눌렀을 때 젤리처럼 물렁한 느낌
- 주로 무릎 꿇는 자세, 청소, 바닥 생활 등 반복적인 자극 후 발생
🧊 급성기엔 냉찜질과 안정, 필요 시 배액이나 주사치료도 병행
6. 퇴행성 무릎 관절염 – 연골 마모로 안쪽 통증 시작
50대 이후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.
무릎 내측 연골이 먼저 닳기 시작하며 안쪽 통증이 먼저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.
- 아침에 무릎이 뻣뻣하고 통증 있음
- 걷다 보면 나아지지만 오래 서 있으면 다시 아픔
- 심하면 안쪽 무릎이 휘는 O자형 다리 발생
⚠️ 초기엔 약물과 운동치료, 진행되면 주사나 수술 고려
무릎 안쪽 통증 자가진단 체크리스트
✅ 계단을 오르내릴 때 무릎 안쪽이 찌릿하다
✅ 오래 앉아 있거나 무릎을 굽히면 아프다
✅ 무릎 안쪽을 눌렀을 때 통증이 있다
✅ 걷는 중에 무릎이 잠깐 꺾이는 듯한 느낌이 있다
✅ 무릎이 붓거나 열이 나는 느낌이 든다
✅ 운동을 하면 심해지고 쉬면 조금 나아진다
✔️ 3개 이상 해당되면 병원에서 X-ray 또는 초음파, MRI 검사를 고려해 보세요.
생활 속 관리법
관리법 설명
냉찜질 (급성기) | 운동 직후, 통증 직후 15분간 냉찜질 |
무릎보호대 사용 | 보행 시 안정을 위해 사용 가능 |
걷기 자세 교정 | 발 안쪽이 먼저 닿는 평발형 걸음 주의 |
근력 운동 | 대퇴사두근, 햄스트링 강화 → 관절 안정성 향상 |
체중 조절 | 1kg 증가 시 무릎 하중은 3~4kg 증가 |